반응형
자본적정성
자본이란 재무상태표상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으로 순자산(net worth)으로 불리기도 하며, 납입자본 및 이익잉여금 등으로 구성된다. 자본은 사업을 시작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핵심 자금으로,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조달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예상치 못한 손실에 대비하는 완충장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금융기관의 자본은 예금청구에 대한 지급능력을 유지시키면서 해당 금융기관이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손실규모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금융기관의 자본적정성은 금융기관이 현재 영위 하는 사업 및 형태에 비추어 당해 금융기관의 현재 및 미래의 영업활동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고 향후 발생 가능한 손실을 흡수하는 데 필요한 자본의 보유 정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기관의 자본적정성을 ① 질적 요소 항목(자산, 이익,유동성, 예금구조, 우발채무, 경영능력) ② 양적 요소 항목(자산대비 자본비율, 자산증가
에 대한 자본증가의 비율, 이익에 대한 배당의 비율) ③ 장래의 영업성과에 대한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1등급(우수)에서 5등급(위험)까지 5단계로 평가하고 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시장통합법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3.11.21 |
---|---|
자본이동자유화규약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3.11.20 |
자본적지출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3.11.18 |
자산건전성 분류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3.11.17 |
자산유동화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3.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