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저효과(base effect)
기저효과(base effect)는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즉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다. 기저효과는 물가 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된다. 예를 들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동기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이다.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가을의 과일가격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경제지표를 보다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준시점에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는지 살펴보고, 그로 인해 비교시점의 지표가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공개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3) | 2024.10.22 |
---|---|
기업어음(CP; Commercial Paper)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2) | 2024.10.21 |
기준금리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1) | 2024.10.19 |
기준순환일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4.10.18 |
기준환율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3) | 2024.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