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후생지표
복지지표로서 한계성을 갖는 국민총소득(GNI)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의 노드하우스(W. Nordhaus)와 토빈(J. Tobin)이 제안한 새로운 지표를 말한다. 현재 주요 지표로 활용 중인 국민총소득은 국민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주부의 가사노동, 여가,공해 등)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어 국민 생활의 질적 수준 또는 복지수준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경제후생지표(measure of economic welfare)는 국민총소득에 후생요소를 추가하면서 비후생요소를 제외함으로써 복지수준을 정확히 반영하려는 취지로 제안되었지만, 통계작성에 있어 후생 및 비후생 요소의 수량화가 쉽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5.02.03 |
---|---|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참가율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1) | 2025.02.02 |
경직적 물가지수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5.01.31 |
계절변동조정시계열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5.01.30 |
계좌대체_[경제금융용어 700선_한국은행] (0) | 2025.01.29 |
댓글